곰퓨타의 SW 이야기

[프로그래머스 level2 n진수 게임] 진수 변환 함수를 활용하자! 본문

TIL/프로그래머스

[프로그래머스 level2 n진수 게임] 진수 변환 함수를 활용하자!

곰퓨타 2021. 1. 21. 03:07

이 문제는 이상하게시리 정말 빨리풀렸다..

과거에 진수 변환에 대해 혼자 코테 준비에 정리한 것 덕분에 3분정도 소요된 것 같다.

level2도 난이도가 굉장히 뒤죽박죽한 것 같다..

level2 중에 거의 6시간을 투자했던 문제도 있었던 것 같은데 신기하다.

 

더 신기한 것은 이 문제가 파이썬을 제공하는 level2 문제 중 마지막 문제라는 것이다.

이건 정말 신기하다..

level3 를 들어갈 준비는 안됐는데 이제 진짜 알고리즘 공부도 병행해야 할 것 같다.

 

오늘 해결해야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87

 

코딩테스트 연습 - [3차] n진수 게임

N진수 게임 튜브가 활동하는 코딩 동아리에서는 전통적으로 해오는 게임이 있다. 이 게임은 여러 사람이 둥글게 앉아서 숫자를 하나씩 차례대로 말하는 게임인데, 규칙은 다음과 같다. 숫자를 0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더보기

N진수 게임

튜브가 활동하는 코딩 동아리에서는 전통적으로 해오는 게임이 있다. 이 게임은 여러 사람이 둥글게 앉아서 숫자를 하나씩 차례대로 말하는 게임인데, 규칙은 다음과 같다.

  1. 숫자를 0부터 시작해서 차례대로 말한다. 첫 번째 사람은 0, 두 번째 사람은 1, … 열 번째 사람은 9를 말한다.
  2. 10 이상의 숫자부터는 한 자리씩 끊어서 말한다. 즉 열한 번째 사람은 10의 첫 자리인 1, 열두 번째 사람은 둘째 자리인 0을 말한다.

이렇게 게임을 진행할 경우,
0, 1, 2, 3, 4, 5, 6, 7, 8, 9, 1, 0, 1, 1, 1, 2, 1, 3, 1, 4, …
순으로 숫자를 말하면 된다.

한편 코딩 동아리 일원들은 컴퓨터를 다루는 사람답게 이진수로 이 게임을 진행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0, 1, 1, 0, 1, 1, 1, 0, 0, 1, 0, 1, 1, 1, 0, 1, 1, 1, …
순으로 숫자를 말하면 된다.

이진수로 진행하는 게임에 익숙해져 질려가던 사람들은 좀 더 난이도를 높이기 위해 이진법에서 십육진법까지 모든 진법으로 게임을 진행해보기로 했다. 숫자 게임이 익숙하지 않은 튜브는 게임에 져서 벌칙을 받는 굴욕을 피하기 위해, 자신이 말해야 하는 숫자를 스마트폰에 미리 출력해주는 프로그램을 만들려고 한다. 튜브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라.

 

입력 형식

진법 n, 미리 구할 숫자의 갯수 t, 게임에 참가하는 인원 m, 튜브의 순서 p 가 주어진다.

  • 2 ≦ n ≦ 16
  • 0 < t ≦ 1000
  • 2 ≦ m ≦ 100
  • 1 ≦ p  m

 

출력 형식

튜브가 말해야 하는 숫자 t개를 공백 없이 차례대로 나타낸 문자열. 단, 10~15는 각각 대문자 A~F로 출력한다.

 

입출력 예제


n t m p result
2 4 2 1 0111
16 16 2 1 02468ACE11111111
16 16 2 2 13579BDF01234567

 

 

 

 

이 문제를 보자마자 과거에 정리하였던 진수 변환 코드가 생각났다.

kom-story.tistory.com/44

 

[python] 진수변환 뿌시기 🔥

문제들을 해결하면서 bin 함수와 int함수를 적절하게 섞어서 2진수와 10진수의 변환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는 것은 알 수 있었지만.. 그 외의 진수변환을 위해서라도 진수변환 코드를 알아두면 유

kom-story.tistory.com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진수 변환 코드는 다음과 같다.

jinsu_rec 함수의 첫 번째 파라미터는 변환될 숫자이고, 두 번째 파라미터는 변환하고자 하는 진수이다.

이는 문제에서 추후에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함수였다.

def jinsu_rec(a,b):
    convertString="0123456789ABCDEF"
    if a <b :
        return convertString[a]
    n = divmod(a,b)
    return jinsu_rec(a//b, b)+ convertString[n[1]]

 

 

 

문제에서 주어진 파라미터는 n,t,m,p로 n은 진법, t는 미리 구해놓을 숫자 개수, m은 게임에 참여한 인원, p는 튜브의 순서였다.

0부터 n진수 수를 하나씩 대답하는 게임이기 때문에 count=0으로 초기화하여 0부터 올라가도록 하였다.

total_jinsu에는 n진법으로 변환한 수를 list의 형태로 한자리씩 저장하기 위한 배열이다.

total_jinsu에는 jinsu_rec 함수를 통해 count숫자를 n진수로 변환한 숫자를 리스트의 형태로써 저장하였다.

m명의 인원이 t개의 숫자를 외치므로, total_jinsu 배열의 길이가 m*t보다  같아지기 전까지 다음 count수를 변환하는 것을 반복하였다.

count = 0
total_jinsu = []
while len(total_jinsu) < m*t :
	temp = list(jinsu_rec(count,n))
	total_jinsu += temp
	count += 1

 

 

m*t까지의 범위를 순회하며, i를 m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p-1인 경우,

튜브가 외치게 되는 숫자이므로 answer에 한자씩 더해주었다.

(예를 들어 3명의 사람이 있고 튜브가 2번이라면

i가 0부터 시작되고 1번째수를 튜브가 외친다.

따라서 i%m = 1%3 = 1 = 2-1 이다.)

 

 

이러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작성한 최종 코드는 다음과 같다.

def jinsu_rec(a,b):
    convertString="0123456789ABCDEF"
    if a <b :
        return convertString[a]
    n = divmod(a,b)
    return jinsu_rec(a//b, b)+ convertString[n[1]]


def solution(n, t, m, p):
    answer = ''
    count = 0
    total_jinsu = []
    while len(total_jinsu) < m*t :
        temp = list(jinsu_rec(count,n))
        total_jinsu += temp
        count += 1
    
    for i in range(m*t):
        if i%m == p-1 :
            answer += total_jinsu[i]
    return answer

 

 

진수변환에 관련된 문제들이 프로그래머스에서 자주보여서 한 번 정리했었는데 유용하게 사용된 것 같다.

 

다음은 3단계여서 많이 두렵지만, 이틀에 한문제를 풀더라도 내 힘으로 풀어내는 연습을 해보고 싶다.💪

Comments